이정록(전남대학교 지리학과 교수, 대한지리학회 고문) 교수가 학생들과 함께 \'무등산 자락 무돌길 이야기\'라는 책을 푸른길 출판사에서 발간하였습니다.
무등산 둘레길인 무돌길 ‘최초의’ 안내서로 저마다의 매력을 지닌 15개의 길을 소개하고 있습니다.
목차 >>
1부 광주 북구 구간
제1길 싸리길 무돌길의 시작, 시화문화마을 -> 人(인)의 문화 공간으로 바뀌어 가는 문화대교 -> 사계절의 멋을 지닌 각화 저수지 -> 자연이 주는 감동을 선사하는 들산재 -> 무등산 자락의 전원 주택지로 소문난 ‘청풍동 신촌마을’│볼거리│찾아가기·Tip
제2길 조릿대길 형형색색 돌담이 눈에 띄는 등촌마을 -> 제2길의 꽃, 조릿대길 -> 김덕령으로 시작해 김덕령으로 끝나는배재마을│볼거리│찾아가기·Tip
제3길 덕령길 덕령길이 시작되는 배재마을 정자 -> 원효사에서 이주하여 만들어진 금정이주촌 -> 소나무로 가득한 덕령 숲길│볼거리│찾아가기·Tip
제4길 원효계곡길 500년 전에 형성된 금곡마을 -> 원효사와 원효계곡 숲길 -> 네 개의 마을이 모여 이룬 평촌마을 -> 광주광역시와 담양군의 경계인 반석마을│볼거리│찾아가기·Tip
2부 전남 담양 구간
제5길 독수정길 증암천이 흐르는 연천마을 산음교 -> 작은 자연 휴양림 같은 함충이재 -> 산봉우리로 둘러싸인 정곡마을│볼거리│찾아가기·Tip
제6길 백남정재길 명산의 정기를 품은 경상마을 -> 경상마을에 없어서는 안 될 경상 저수지 -> 의병들이 전략적 요충지로 이용한 백남정재│볼거리│찾아가기·Tip
3부 전남 화순 구간
제7길 이서길 수령 320여 년의 느티나무가 있는 무동마을 정자 -> 무동 저수지와 주변의 수려한 농촌 경관 -> 멋스러운 한옥이 있는 고즈넉한 송계마을 -> 제7길에서 가장 큰 마을인 서동마을 -> 추운 겨울에도 따뜻한 샘물이 샘솟는 용강마을│볼거리│찾아가기
제8길 영평길 90여 년 역사의 화순초등학고 이서분교장 -> 신선이 살았다고 전해지는 도원마을 -> 서부 영화가 떠오르는 OK목장│볼거리│찾아가기·Tip
제9길 안심길 우렁바우께시암을 식수로 이용하는 안심마을 -> 안심리에 농업 용수를 공급하는 안심 저수지│볼거리│찾아가기·Tip
제10길 수만리길 편백나무 향이 그윽한 안양산 휴양림 -> 임진왜란 때 의병이 주둔했던 둔병재 -> 물촌마을의 수만분교장│볼거리│찾아가기·Tip
제11길 화순산림길 림공원이 있는 큰재 쉼터 -> 편하게 숲속을 걷는 만연산 오솔길 -> 만연산 능선길 도깨비도로│볼거리│찾아가기·Tip
4부 광주 동구 구간
제12길 만연길 세 갈래 등산로와 이어지는 중지마을 만연재 -> 한적한 곰적골 계곡│볼거리│찾아가기·Tip
제13길 용추계곡길 당산나무 아래에 있는 용연마을 정자 -> 광주의 상수원인 용연 정수장│볼거리│찾아가기·Tip
제14길 광주천길 마을 주민의 쉼터인 선교마을 정자 -> 가슴 아픈 역사의 현장인 주남마을 -> 인공폭포 시설이 있는 원지교│볼거리│찾아가기·Tip
제15길 폐선푸른길 푸른길의 시작, 남광주역 -> 폐선 부지를 시민들의 공원으로 만든 푸른길공원 -> 모범수들의 나들이 길, 농장다리│볼거리│찾아가기·Tip
